<호메로스 일리아스 만나는 법(How to meet Homer's Iliad)>


 

   서양고전의 이 저서들 가운데 선두에 서 있는 책이 호메로스의 <일리아스>이다. 이 위치의 의미는 각별하다. 첫 장을 넘기는 행위는 서양고전 대장정의 출발점에 서는 거와 다름없다. 첫인상도 여기서 결정된다. 표정이 너무 험상궂고, 예절도 엉망이면 그길로 선뜻 나서기 어렵다. 처음부터 너무 친절해도 마찬가지이다. 그 안에 무슨 꿍꿍이속이 있는지 의심이 가기 마련이다.

 (Among these Western classics, the book that stands at the forefront is Homer's <Iliad>. The meaning of this location is special. The act of turning the first page is no different from starting a journey through Western classics. First impressions are also determined here. If your expression is too grim and your manners are a mess, it is difficult to take that path. The same goes for being too kind from the beginning. There are bound to be suspicions as to whether there is some ulterior motive behind it.)

    많은 이가 다행스럽게도 <일리아스>에 대해 좋은 선입감을 갖고 있다. 서양인들에게 가장 오랫동안 사랑을 받아왔다는 건 주지의 사실이니까. 도대체 내용이 얼마나 훌륭하기에 그 많은 문호와 철학가가 이 책을 가슴에 품은 채 보고 또 보았는지 궁금증이 생길 만도 하다. 그들은 <일리아스>에서 영감을 얻고, 사유를 진행했으며, 상상력을 펼쳤다. 우리가 아득한 과거의 고대철학자로 여기는 소크라테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역시 <일리아스>의 열혈 독자였다. 그들은 또 자신의 저서들 속에 <일리아스>를 뿌려놓았다.

(Fortunately, many people have good preconceptions about <The Iliad>. It is a well-known fact that it has been loved by Westerners for the longest time. It is natural to wonder how great the content is, so many writers and philosophers kept this book in their hearts and read it over and over again. They drew inspiration from <The Iliad>, advanced their thoughts, and expanded their imagination. Socrates, Plato, and Aristotle, whom we consider ancient philosophers of the distant past, were also avid readers of the Iliad. They also scattered the <Iliad> among their writings.)

   문제는 이런 선입감이 반드시 환호로 이어지지는 않는다는 점이다. 사람마다 기력이 다르니 섣불리 예측하기가 쉽지 않지만, 개인적 경험에 비추어 보면 그렇다. <일리아스>를 사람에 비유해보자. 이 책은 고약한 인상에 산만 한 덩치를 가진 존재로 내 앞에 섰다. 쉽게 다가서서 악수하기는커녕 도망치고 싶은 심정만 가득했다. 외모만 그런 게 아니고, 심한 사투리인 데다 말투마저 투박하니 대화마저 나누기 어려웠다. 지형으로 보자면, 들머리부터 급경사인 등산로를 연상케 했다. 아예 시도도 하지 못할 절벽이라는 생각도 들었다. 바다에 비유하면, 배 띄우기조차 불가능할 정도로 거센 물결이 밀려오는 부둣가에 선 것만 같았다.

(The problem is that this prejudice does not necessarily lead to cheers. It is not easy to predict because each person's strength is different, but based on personal experience, this is the case. Let’s compare <The Iliad> to a person. This book stood before me as a large, distracting entity with a nasty look. Instead of easily approaching and shaking hands, I was filled with the feeling of wanting to run away. Not only was it his appearance, but he had a strong dialect and his speaking was rough, so it was difficult to even have a conversation with him. In terms of terrain, it was reminiscent of a hiking trail with a steep slope from the top of the hill. I also thought that it was a cliff that I couldn't even attempt. Comparing it to the sea, it felt like I was standing on a dockside with waves so strong that it was impossible to even launch a boat.)

 

 이런 상대를 만나면 두 가지 방법밖에 없다. 되돌아서서 줄행랑을 치거나, 힘들더라도 한번 사귀어 보자는 태도이다. 줄행랑치는 건 쉬우니 달리 더 언급할 게 없고, 어쨌든 한번 시도해 보는 쪽을 살펴보자. 우선 이야기 진행 방식이 지금껏 만났던 책들과 크게 달라서 한 장을 넘기기조차 어렵다. 또 생전 처음 들어보는 신과 사람의 이름들이 다짜고짜 한꺼번에 쏟아져 나오니 혼비백산할 일이 아닐 수 없다. 어떻게 이 일을 감당할 수 있을까. 초입부터 이리 난관이니, 앞으로 항해가 난감할 뿐이다.

(When you meet someone like this, there are only two ways. It's an attitude of either turning back and running away, or dating even if it's difficult. It's easy to mess around, so there's nothing more to say, so let's give it a try anyway. First of all, the way the story progresses is so different from the books I've read so far that it's difficult to even get past a single chapter. Also, the names of gods and people that I have never heard of in my life are pouring out all at once, which can be quite confusing. How can I handle this? Since it is so difficult from the beginning, the navigation going forward will only be difficult.)

   이때 한 영화 장면이 불현듯 떠오른다. 톰 행크스(척 놀랜드 역)가 주연했던 영화 캐스트 어웨이 (Cast Away)’이다. 세계적인 택배회사 직원인 척 놀랜드는 타고 가던 비행기가 추락해 무인도에 도착하게 된다. 그로부터 4년 후 완전히 원시인이 된 주인공은 파도에 떠내려 온 알루미늄 판 하나를 해안에서 발견하고, 그것을 이용해 탈출하기로 결심한다. 그러나 그는 섬 밖으로 한 발짝도 나갈 수 없었다. 자신이 다친 것도 아니고, 누가 붙잡거나 감시해서도 아니었다. 해안에 수시로 들이닥치는 물결이 원인이었다. 높이와 폭이 얼마 되지 않은 파도이지만, 그 흐름을 이겨내지 못해 먼 바다로 나갈 수 없었던 것이다

(At this time, a movie scene suddenly comes to mind. This is the movie ‘Cast Away’ starring Tom Hanks (Chuck Noland). Chuck Noland, an employee of a world-class delivery company, ends up on a deserted island when the plane he was traveling on crashes. Four years later, the protagonist, who has become a complete caveman, discovers an aluminum plate floating in the waves on the shore and decides to use it to escape. But he couldn't even take a step off the island. It wasn't that he was injured, and it wasn't that anyone was holding him or watching him. The cause was the waves that frequently hit the coast. Although the waves were only a short distance in height and width, they were unable to withstand the current and were unable to go out to sea.)


   놀랜드는 이를 돌파하려고 애를 썼지만 번번이 실패하고 만다. 불굴의 노력으로 마침내 파랑(波浪)을 이겨낸 그는 지나가던 선박에 구조되어 그토록 그리던 사회로 돌아올 수 있었다. <일리아스> 첫 장은 바로 놀랜드를 그토록 괴롭히던 해안 물결에 비유할 수 있다. 고전의 바다라는 대양으로 나가기 위해 반드시 넘어야 할 관문인 것이다. 어쩌면 난바다로 진출하기 전에 자신을 단련하는 일종의 훈련 과정으로 여길 수도 있겠다.

(Noland tried to break through this, but failed again and again. With his indomitable efforts, he finally overcame the waves and was rescued by a passing ship and was able to return to the society he had longed for. The first chapter of <The Iliad> can be compared to the coastal waves that bothered Noland so much. It is a gateway that must be crossed to enter the ocean called the Sea of ​​Classics. Maybe you can think of it as a kind of training process to train yourself before heading out to sea.)

   <일리아스>와의 만남에서 이 책과 관련된 뜬소문을 확인할 수 있다. 우선 <일리아스><오뒷세이아>가 다른 책이란 걸 알게 된다. 서양 고전에 익숙한 사람은 이게 무슨 말인가 고개를 갸웃하겠지만, 의외로 두 작품을 한 작품으로 아는 이가 적지 않다. 모두 호메로스가 지은 책이니 그런 오해가 생겼나 보다.

(You can check out the buzz related to this book in your encounter with <Iliad>. First of all, we learn that <The Iliad> and <Odyssey> are different books. People who are familiar with Western classics may tilt their heads wondering what this means, but surprisingly, many people consider the two works as one work. Since these are all books written by Homer, such a misunderstanding seems to have arisen.)

   다음으로 <일리아스>에 나오지 않은 내용이 마치 그런 것처럼 떠돌아다닌다는 점이다. 고대사를 좀 안다는 사람들도 잘못 아는 경우가 적지 않다. 그 사람에게서 이야기를 들은 이가 <일리아스>를 직접 읽은 사람을 면박하는 일이 생기기도 한다.

(The next problem is that things that are not in the Iliad are floating around as if they were. Even people who know a little about ancient history often get it wrong. There are even cases where people who hear stories from those people criticize people who have read the Iliad themselves.)

   그 가운데 대표적인 게 트로이 목마에 관한 이야기이다. 가장 널리 알려졌으니 <일리아스>에 당연히 포함돼 있을 것으로 여길만하다. 하지만 대답은 아니오이다. 위대한 화가들이 상상해 그릴만큼 유명한 신화인 파리스의 사과도 그렇다. 당연히 <일리아스> 중 한 대목일 것으로 알고 아무리 책을 뒤져봐도 소용이 없다.

(A representative example among them is the story about the Trojan horse. Since it is the most widely known, it can be assumed that it will naturally be included in <The Iliad>. But the answer is ‘no’. The same goes for the ‘Apple of Paris’, a myth so famous that great painters imagined it and painted it. Of course, I thought it was a passage from <The Iliad>, and no matter how much I searched the book, it was of no use.)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 그리스 영웅 서사시들의 종류와 구조를 알 필요가 있다. 그리스 서사시의 가장 큰 틀은 서사시권으로 불린다. 그 중 하나가 8편으로 이뤄진 트로이아 서사시권이고, 그 속에 <일리아스>가 포함돼 있다. 트로이아 서사시권의 구성은 통일성을 갖추고 있다. 파리스 심판은 <퀴프리아>에서 다루고 있다. 그다음이 바로 <일리아스>이다. 아킬레우스가 발뒤꿈치에 화살을 맞고 죽는 건 <아이티오피스>의 한 부분이다.

(To understand this, it is necessary to know the types and structures of Greek heroic epics. The largest framework of Greek epic poetry is called the epic sphere. One of them is the ‘Trojan Epic Volume’, which consists of eight parts, and includes the ‘Iliad’. The composition of the Trojan epic area has unity. The judgment of Paris is covered in <Quipria>. Next is <Iliad>. It is a part of <Itoffice> that Achilles dies after being shot in the heel by an arrow.)

   <소일리아스><일리아스의 함락>은 아킬레우스가 죽은 후 남긴 그의 무구들을 차지하려고 오뒷세우스와 아이아스가 경쟁하는 장면과 목마 작전으로 트로이성이 함락 당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귀향>은 오뒷세우스를 제외한 다른 그리스군 장수의 귀국을 읊는다. 그 다음이 오뒷세우스의 10년 귀향을 다룬 <오뒷세이아>이다. 이 오뒷세우스의 또 다른 여행기가 <텔레고노스 이야기>에 담겨 있다.

(<mini Iliad> and <The Fall of Iliad> contain scenes of Odysseus and Ajax competing to take possession of the weapons left behind by Achilles after his death, and the fall of Troy through Operation Wooden Horse. <Homecoming> is about the return home of other Greek military generals except Odysseus. Next is <Odysseia>, which deals with Odysseus's 10-year return. Another travel story of Odysseus is contained in <The Tale of Telegonus>.)

   <일리아스>는 독특한 구성으로 이뤄져 있다. 이 점이 독자가 선뜻 다가서기 어려운 장벽인 동시에 줄거리를 잘못 추측하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호메로스는 9년 동안 일어난 일을 단 50일 동안의 사건을 통해 생생하게 그리고 있다. 그것도 따져보면 실제로 묘사된 날은 단 며칠로 압축된다.

(<The Iliad> has a unique composition. This is a barrier that is difficult for readers to approach, and at the same time, it serves as a cause for incorrect guesses about the plot. Homer vividly describes what happened over a period of nine years through the events of just 50 days. If you think about it, the days actually described are compressed into just a few days.)

   이토록 짧은 기간의 사건을 통해 트로이 전쟁의 경위를 생생하게 그리기 위해 호메로스는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한다. 그는 아킬레우스가 아가멤논과 다투고 원한을 품게 된 경위를 이야기하고는 곧장 양군을 싸움터로 나가게 한 뒤 양군의 군세와 지난 9년 동안 일어났던 사건을 전한다. 또 등장인물의 입을 통해 트로이의 비극적 종말과 아킬레우스의 죽음을 암시한다. 이런 방식을 통해 <일리아스>에서 다루지 않는 전쟁의 시작과 종말 내용을 독자에게 귀띔하는 것이다.

(Homer uses two methods to vividly depict the events of the Trojan War through the events of such a short period of time. He tells the story of how Achilles quarreled with Agamemnon and developed a grudge against him, then immediately sends both armies out to battle and then tells them about the armies of both armies and the events that have occurred over the past nine years. Also, the tragic end of Troy and the death of Achilles are hinted at through the characters' mouths. In this way, the reader is informed of the beginning and end of the war, which are not covered in <The Iliad>.)

   호메로스의 이런 탁월한 표현력이 <일리아스>만 읽고도 8편의 서사시 모두를 본 것 같은 착각을 일으키게 했을 수도 있다. 그러고 보면 <일리아스>에서 파리스의 심판과 트로이목마를 봤다는 사람을 마냥 나무랄 일은 아닌 것 같다.

(Homer's outstanding expressiveness may have created the illusion that one had seen all eight epic poems just by reading <The Iliad>. Now that I think about it, I don't think it's a good thing to criticize someone who saw the judgment of Paris and the Trojan horse in <The Iliad>.

   <일리아스>의 유혹은 어찌 보면 숙명적이고 치명적이다. 책을 좋아한다면, 이 서사시와의 만남이 운명 지워졌다고 해도 무리가 아니다. 그만큼 인류 지성사에 깊고 넓게 영향을 미친 작품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작품을 쉽게 만나기 어렵다. 이름을 늘 들으면서도 감히 얼굴을 바라보기 어려운 위인에 비유할 수 있을까. 기회가 닿아 <일리아스>를 접하면, 그때부터 헤어나기 어렵다. 그 속에서 벌어지는 무궁무진한 이야기들은 발목을 잡는 늪지처럼 우리를 끌어 당긴다.

(In a way, the temptation of <The Iliad> is fateful and fatal. If you love books, it'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your encounter with this epic is doomed. This is because it is a work that has had a deep and wide impact on human intellectual history. However, it is difficult to find this work easily. Can we compare him to a great person whose name we hear all the time, but whose face we dare not dare to look at? If you get a chance and come across <The Iliad>, it will be difficult to leave from then on. The infinite stories that unfold within it pull us in like a swamp that holds us back.)ㅡ유혹으로 읽은 일리아스(엘박사들) 중

댓글

가장 많이 본 글